Mind Control/Like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영원한 회귀란 신비로운 사상이다.

우리가 이미 겪었던 일이 어느 날 그대로 반복될 것이고

이 반복 또한 무한히 반복된다고 생각하면!


이것을 뒤집어 생각해 보면

영원한 회귀가 주장하는 바는,


인생이란 한번 사라지면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한낱 그림자 같은 것이고,

그래서 산다는 것에는 아무런

무게도 없고 

우리는 처음부터 죽은 것과 다름없어서,

삶이 아무리 잔혹하고 아름답고 혹은 찬란하다 할지라도

그 잔혹함과 아름다움과 찬란함조차도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14세기 아프리카의 두 왕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와중에 30만 흑인이

이루 말할 수 없이 처참하게

죽어 갔어도 세상 면모가 바뀌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인생의 잔혹함이나 아름다움 따위는 전혀 염두에 둘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전쟁이 영원한 회귀를 통해 셀 수 없을 만큼 반복된다면

14세기 아프리카의 두 왕국 사이에 벌어졌던 전쟁도

뭔가 달라질 수 있을까?


프랑스 혁명이 영원히 반복되어야 한다면,

로베스피에르에 대한 프랑스 역사의 자부심도 덜할 것이다.


그런데 역사는 다시 되풀이되지 않을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그 피투성이 세월 조차도 그저 말뿐,

새털보다 가벼운 이론과 토론에 불과해서 누구에게도 겁을 주지 못한다.


역사 속에서 단 한 번 등장하는 로베스피에르와,

영원히 등장을 반복하여 프랑스 사람의 머리를

자를 로베스피에르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영원한 회귀라는 사상은,

세상사를 우리가 아는 그대로 보지 않게 해주는 시점을 일컫는 것이라고 하자.

다시 말해 세상사는, 세상사가 덧없는 것이라는 정상참작을 배제한 상태에서

우리에게 나타난다.


사실 이 정상참작 때문에 우리는 어떤 심판도 내릴 수 없다.

곧 사라지고 말 덧없는 것을 비난할 수 있을까?


석양으로 오렌지 빛을 띤 구름은 모든 것을 향수의

매력으로 빛나게 한다. 단두대조차도.


얼마 전 나는 기막힌 감정의 불꽃에 사로잡혔다. 

나는 히틀러에 관한 책을 뒤적이다 사진 몇 장을 보곤 감격했다.

내 어린 시절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나는 어린 시절을 전쟁 통에서 보냈다.

내 가족 중 몇몇은 나치 수용소에서 죽기도 했다.

그러나 그들의 죽음이, 되돌아갈 수 없는 내 인생의 한 시절,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해 줬던

히틀러의 사진에 비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러한 히틀러와의 화해는 영원한 회귀란 없다는 데에

근거한 세계에 존재하는 고유하고 심각한 도덕적 변태를 보여준다.


왜냐하면 이런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처음부터 용서되며,

따라서 모든 것이 냉소적으로 허용되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 이 시간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기에

소중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니체의 영원한 회귀에 입각해서 바라본다면

지금 이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기에

그 무게는 가볍다.

반면에 영원한 회귀는

지금 이 순간은 끊임없이 반복될 것이기에

그 무게는 무겁다.


이렇듯

영원한 회귀가 없다는 것은 

가벼움이고, 얇음이고, 비존재에 가깝다.


하지만 영원한 회귀는

무거움이고, 두꺼움이고, 존재에 가깝다.


왜냐하면 계속해서 프랑스 혁명은 일어나고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은 반복되고

역사속 수많은 전쟁의 페이지가

되풀이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영원한 회귀가 없음은

다시는 과거 전쟁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과거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고

과거와 화해할 수 있는 것이다.


영원한 회귀는 

과거의 전쟁의 역사와 절대 화해할 수 없으며

반복될 앞으로를 보기 때문에

과거를 수용할 수도 화해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영원한 회귀는

무거움이다.

 

'Mind Control > Lik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윈 "25세 한국청년이라면?"  (2) 2017.03.23
새벽 세시 3:00AM  (1) 2016.12.31
[말하는 대로]조승연이 말하는 펜싱  (2) 2016.12.27
말의 무게  (0) 2016.12.27
사랑의 물리학  (2) 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