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I/SPARC 3단계
※ DBMS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추상적인 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고 유지되는가에 관한 상세한 사항을 숨기고 있는 것이다. 현재 상용 DBMS 구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아키텍처는 ANSI/SPARC 아키텍처이다.
※ ANSI/SPARC 아키텍처의 주요 목적은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의 독립성은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과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내부 단계에서 외부 단계로 갈수록 추상화 정도는 높아진다.
1. 외부 단계(각 사용자의 뷰)
• 데이터베이스의 각 사용자가 갖는 뷰. 각 사용자가 어떻게 데이터를 보는가를 기술한다.
• 대학교 데이터베이스에서 한 학과의 학과장은 학과의 예산과 학생들의 수강 정보에는 관심이 있지만, 도서관에 관한 정보는 관심이 없다. 즉, 학과장은 학과에 관련된 데이터만 볼 수 있으면 된다.
•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서로 다른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날짜를 월/일/연도 형식으로 보고, 연도/월/일 형식으로도 볼 수 있다.
2. 개념 단계(사용자 공동체의 뷰)
• 조직체의 정보 모델로서, 물리적인 구현은 고려하지 않으면서 조직체 전체에 관한 스키마를 포함한다.
• 개념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간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하고, 어떤 무결성 제약조건들이 명시되어 있는가를 기술한다.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를 기술한다.
3. 내부 단계(물리적 또는 저장 뷰)
• 실제의 물리적인 데이터 구조에 관한 스키마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가를 기술한다.
4. 예시
• 수도권 전철 노선도는 수도권 시민이 전철 노선도를 보는 관점을 모두 합쳐 놓은 개념 스카마에 해당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은 8개 전철 노선도의 모든 역에 관해서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없다.)
• 사당동에 사는 학생이 청량리에 있는 학교에 통학하기 위해서는 사당역에서 전철을 타고, 동대문에서 갈아탄다. 따라서 이 학생은 수 많은 전철역 중에서 사당역, 동대문역, 청량리역에만 관심을 갖는다. 이 관심을 갖는 각각의 역들이 외부 단계에 해당한다.
• 전철이 교류를 사용하는지 또는 직류를 사용하는지, 우측 통행인지 또는 좌측 통행인지, 각 전철에 몇 량이 달려 있는지 등은 내부 단계에 비유할 수 있다.
'Learn business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별관계와 비식별관계 (0) | 2017.03.24 |
---|---|
릴레이션 키 총 정리 (0) | 2017.03.23 |
관계 데이터 모델 (2) | 2017.03.23 |
DBMS의 언어 (0) | 2017.03.23 |
DBMS의 발전 과정 (0) | 2017.03.23 |